티스토리 뷰

반응형

헌혈의 집에서 헌혈을 할 경우 여러가지 주의사항과 지켜야 할 점, 인정되는 봉사시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헌혈 가능 나이

전혈헌혈 - 만 16세~ 69세

혈장 성분헌혈 - 만 17세 ~ 69세

혈소판성분헌혈, 혈소판혈장성분헌혈 - 만 17 ~ 59세

 

 

 

헌혈 가능 체중

남성의 경우 - 50kg 이상

여성의 경우 - 45kg 이상

 

 

 

건강진단

혈압(mmHg) - 수축기 90~179, 이완기 100 미만체온 - 37.5℃ 이하

맥박(회/분) - 50~100

 

 

 

헌혈간격

전혈헌혈 - 8주 경과

혈장성분헌혈, 혈소판성분헌혈, 혈소판혈장성분헌혈 - 14일 경과헌혈횟수

전혈헌혈 - 최근 1년 이내에 전혈헌혈횟수 최대 5회

혈소판성분헌혈, 혈소판혈장성분헌혈 - 최근 1년 이내에 성분헌혈횟수 최대 24회

 

 

외국 여행 후 헌혈

외국을 여행하고 돌아왔을 때는 귀국 한 후 1개월이 경과하여야 헌혈이 가능합니다.

 

 

 

질병과의 관계

감염병 완치 이후 일정한 기간이 경과하여야 가능합니다.

기타 질병의 경우 완치한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여야 가능합니다.

건선 치료제를 복용 하였다면 3년이 경과하여야 가능합니다. ( 하지만 일부는 영구히 헌혈이 금지됩니다)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를 복용 하였다면 4주 혹은 6개월이 경과하여야 가능합니다.

탈모증 치료제를 복용 하였다면 4주가 경과하여야 합니다.

여드름 치료제를 복용 하였다면 4주가 경과하여야 합니다.

기타 헌혈금지약물을 복용 했을 경우 일정기간 경과하여야 합니다.

 

예방접종

인플루엔자, A형간염, 일본뇌염 등 예방접종 받은 후 24시간 경과

B형 간염 예방접종 받은 날로부터 2주 경과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MMR)의 혼합백신, 수두 등 예방접종 받은 날로부터 4주 경과진료

수혈 후 1년 경과

기타 진료 후 일정기간 경과

* 임신 중인자, 분만 또는 유산 후 6개월 이내인 자는 헌혈에 참여하실 수 없습니다.

* 65세 이상인 자의 헌혈은 60세부터 64세까지 헌혈한 경험이 있는 자에만 가능함

 

현혈 시 지켜야 할 사항

1.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합니다.

-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공무원증 등 신분을 증명할 수 있는 신분증이 꼭 필요합니다.

2. 충분한 수면을 한 후 헌혈을 할 수 있습니다.

3. 아침 식사를 반드시 한 후 헌혈을 합니다.

4. 헌혈 당일에 음주 했을 경우 헌혈이 불가능하며, 전날의 음주 역시 불가능합니다.

5. 수혈을 받을 환자를 위하여 문진 간호사의 질문에 성실하고 정직하게 답을 합니다.

 

 

헌혈이 불가능한 경우

1. 체중 : 남자 50kg이하, 여자 45kg이하인 경우.

2. 연령 : 만16세미만, 만69세 이상인 경우.

(65세 이상자의 헌혈은 60~64세까지 헌혈 경험이 있는 자에 한함)3. 전혈헌혈 후 2개월, 성분헌혈 후 2주 이상 경과하지 않은 경우.

4. 약물을 복용하신 분, 예방접종을 받은 경우 문진간호사에게 꼭 문의해주세요5. 간염 감염자 및 심장병질환자 간기능이상자, 경련·발작환자, 열이 있는 환자6. 수면시간 4시간 이하 이신 분

7. 공복시간 8시간 이상 이신 분

8. 헌혈전일 또는 당일 음주하신 분

9. 2년 이내에 말라리아 지역에 거주하였거나, 1년 이내에 1박 이상 여행하신 분10. 1개월 이내 내시경을 하신 분

11. 1개월 이내 외국여행을 다녀오신 분

 

 

 

 

 

 

헌혈 하기 전 하면 안되는 것, 먹으면 안되는 음식

 

 

 

1 술

음주 후에 헌혈을 하면 혈액 속 알콜 수치가 높아집니다. 이 수치가 일정 수치 이상으로 나온다면 혈액은 폐기처리 됩니다. 헌혈을 하는 당일은 물론, 전날의 음주도 영향을 미칩니다. 헌혈을 하려면 전날부터 금주를 해야합니다. 그리고 헌혈 한 후에도 음주는 해롭습니다. 헌혈을 하면 체내 혈액량이 줄어들어 있기 때문에 평소와 같은 양의 술을 마시더라도 혈중 알콜 농도가 빠르게 증가하기 때문에 해롭습니다.

 

2 기름진 음식

지방이 너무 많이 포함된 음식을 먹은 후 헌혈을 하게되면 채취한 혈액을 폐기해야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치킨, 피자, 햄버거, 고기, 라면 등에 많이 포함된 기름기에는 지방질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지방질은 섭취한 후 약 9시간 동안 분해되지 못하고 혈액속을 흐르고 있기 때문에 수혈을 함에 적합하지 않아서 폐기처리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지방질이 혈액속에 있을 경우 혈액의 색이 우윳빛을 띄며 혼탁하기 때문에 혈소판의 감지가 어려워지고 혈액의 분리가 잘 안된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헌혈을 하기 하루 전부터 기름기가 많은 음식의 섭취를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3 헌혈 금지 약물 주의

헌혈에 적합하지않은 약물들이 있으니 꼭 주의가 필요합니다. 위쪽 항목에도 표기하였지만,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 여드름 치료제, 건선 치료제, 남성 탈모 치료제 등 헌혈 금지 약물로 지정된 약물들이 있습니다. 금지 약물을 복용하고 헌혈을 할 경우 수혈자에게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현재 금지 약물을 복용중이거나 이전에 복용한 경험이 있을 경우에는 헌혈 전 문진 간호사에게 반드시 밝히고 문의해야 합니다.

 

4 해외여행 귀국 후 1달

해외여행 후 귀국 1달이 지나지 않았다면 어느 국가를 방문했든 감염병 예방을 위해서 헌혈이 제한됩니다. 특히 보건 복지부에서 지정한 감염병 19종이 발병한 국가를 방문했다면 해당 병에 따라 헌혈 제한 기간이 또 다르다고 합니다. 말라리아가 유행하는 나라에 6개월 미만 체류했다면 1년간 헌혈이 제한되고, 6개월 이상 체류했다면 3년간 헌혈이 제한됩니다. 야콥병이 유행한 나라에 체류했다면 헌혈이 영구히 제한된다고 하니 헌혈 전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

 

5 문신 시술

문신을 시술한지 6개월이 지나지 않았다면 헌혈이 불가능합니다. 문신과 더불어 부항, 침술 등 주사바늘을 이용한 시술을 의료기관이 아닌 곳에서 받았을 경우, 소독의 유무를 떠나 재활용 장비로 인하여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감염 위험 때문에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일회용 장비를 사용하는 의료기관에서 시술받았을 경우에는 1달정도의 유예기간이 있다고 합니다.

 

 

 

 

헌혈 봉사시간

 

헌혈 1회 당 4시간의 봉사시간이 인정됩니다. 고등학교의 경우 연간 3회의 헌혈까지 인정된다고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