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날씨가 추워져 영하의 온도로 내려가 수도가 얼거나 보일러 온수가 안나올때 당황하는 분들이 있다. 수도사업본부는 동결 방지를 위해서는 계량기 보호 용기를 단열재로 채우고 장시간 외출할 때는 수돗물을 조금씩 틀어 동결을 방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수도계량기가 얼었을 때 물을 부으면 수도관이 파열될 수 있으므로 온수건으로 수도관을 녹여야 한다고 한다. 온수가 미지근할 경우에도 할수있는 대처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한다.

 

 

보일러 온수가 안나올때 는

 

물이 나오지 않는 일반적인 이유는 보일러에서 나오는 온수관의 물이 얼기 때문이다. 보일러의 온수관이 이렇게 얼면 녹여야한다. 하지만 뜨거운 물을 부으면 안된다. 뜨거운 물을 부으면 수도관이 터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뜨거운 물을 붓기보다는 적당한 따뜻한 물에 적신 수건을 수도관에 감는 것이 좋다.

얼었던 파이프가 녹으면 다시 얼지 않도록 해야 한다. 간신히 녹은 파이프가 얼면 밤이 되면 다시 온도가 내려가기 때문이다.


보일러 동결 사고는 주로 물이 흐르는 배관에서 발생한다. 배관이 얼지 않도록 보일러에 연결된 직수관, 난방수관, 온수관, 응축수관은 열재로 곱게 덮어야 한다. 단열재가 오래된 경우는 새것으로 교체하는게 좋습니다.

가스보일러 이용자는 보일러 물이 나오지 않을 때 먼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동 후 먼저 가스밸브 잠겼는지 보일러 점화코드에 결함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보일러는 난방과 온수로 연결되어 있다. 온수를 담당하는 장치는 오일 플로우 검출기라고 불린다. 회사마다 이름이 다르다. 유수는 물의 흐름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이고 유량은 물의 양과 속도를 감지한다. 이 장치는 물살이 많을 때는 순간적으로 가스를 많이 개방하고 사용량이 적을 때는 감소한다. 이 장치가 고장나면 물이 안나온다.

그래서 난방이 잘 되고 있는지, 물이 작동하고 있지 않은지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뜨거운 물이 없을 경우 이 장치는 고장나서 수리가 필요합니다.


겨울에는 수도관이 얼 수 있다. 온도에 따라 얼거나 튜브가 얼 수 있으므로 드라이기로 녹이는 것이 가장 좋다. 순간 보일러는 삼방 밸브를 사용한다. 그것은 말 그대로 삼차변을 의미합니다. 이 부분은 난방과 온수를 동시에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난방을 이용하면 온수가 차단되고 온수를 이용하면 하나만 이용할 수 있다. 보일러가 딸깍 소리를 내면 삼면 밸브 고장일 가능성이 높다.


보일러는 작동하지만 물이 나오지 않을 경우 보일러에 연결된 직수관이나 온수관이 얼었을 때 발생하는 증상이다. 얼었던 파이프 주변의 단열재를 떼어내고 50~60℃ 정도의 따뜻한 물수건으로 반복적으로 싸서 녹인다. 난방기나 전선을 사용할 경우 화재의 위험이 있으므로 작업자는 반드시 주의해야 한다.

찬물이 나오지 않을 경우 수도관과 수도미터가 얼어서 급수가 차단됨. 수도미터가 동결되었을 경우에는 관내 수도사업소에 통보하고 밸브나 배관이 동결되었을 경우에는 관리사무소나 전문시설업체에 연락해서 조치한다.


 

 

보일러 온수가 미지근한 경우

 


작업실 및 바닥면적이 작을 경우 보일러 용량에 따라 가스 설치 비용이 발생한다. 수압은 좋지만 대용량을 쓰면 가스비가 비싸고 소용량을 쓰면 온수가 약하다. 집주인이 결정하기 때문에 교환은 어렵지만, 이 경우에는 직판을 살짝 닫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수도꼭지로 직접 물의 양을 조절할 수 밖에 없습니다.


온수와 냉수가 모두 나오지 않을 경우 수도관과 수도미터가 모두 얼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 경우 전문가를 불러 해동작업을 받아야 합니다. 수도꼭지를 틀어도 물만 나오지 않으면 보일러 고장이 아닌 냉온수관이 얼어 있으므로 빨리 녹일 것을 권한다.

 

 

보일러에 95 숫자가 뜨거나 에러 표시가 나는 경우


보일러에 물이 없을 때 표시되는 안전 기능 표시입니다. 급수관 속(나비) 밸브가 닫혀 있으면 밸브를 열 수 있으며, 자동적으로 급수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단 나비 밸브를 열어도 물이 보충되지 않으면 특이성이나 동결을 의심해야 한다.

반응형
댓글